어떤 일에 대한 결정을 거부하는 것 또는 거부할 수 있는 권리.
‘비토권’, ‘거부권’이라고도 해요. 여기서 ‘권’은 권리를 뜻해요.
😅 이번에 국회에서 새로운 법이 통과가 안 됐대.
🤔 정말? 그 법을 비토하는 국회의원들이 많았나 보다.
*이 단어는 ‘J’님이 알려주셨어요. [게시물 보기]
어떤 일에 대한 결정을 거부하는 것 또는 거부할 수 있는 권리.
‘비토권’, ‘거부권’이라고도 해요. 여기서 ‘권’은 권리를 뜻해요.
😅 이번에 국회에서 새로운 법이 통과가 안 됐대.
🤔 정말? 그 법을 비토하는 국회의원들이 많았나 보다.
*이 단어는 ‘J’님이 알려주셨어요. [게시물 보기]
국회의원들이 새로운 법이나 정책을 만들 때는, 그 결정에 찬성하는 사람도 있고 반대하거나 거부하는 사람도 있어요. 이처럼 어떤 결정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모이면 ‘비토 세력’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결정을 거부하거나 반대하는 감정을 ‘비토 정서’라고 하기도 하고요. 또한 ‘비토’의 반대말로, ‘디토’라는 표현도 있어요. ‘디토’는 어떤 결정에 찬성하거나 동의하는 것을 뜻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