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뜻이에요은행에 빌리거나 맡긴 돈에 더해지는 이자의 비율.

은행에서 은행에 돈을 맡기거나 빌린 사람에게 이자를 어느 정도 줄지 정한 것을 말해요.

이율, 이자율이라고도 불러요.

예를 들어 내가 은행에 100만 원을 맡겼는데 금리가 1퍼센트(%)*라면, 정해진 기간마다 1만 원을 받을 수 있어요.

*퍼센트(%) : 전체 양을 100으로 했을 때, 어떤 것이 100중 얼마만큼인지 나타낸 것.


✔ 함께 알면 좋은 말 : 이자, 이율
이렇게 쓰여요😢 작년과 비슷하게 돈을 은행에 저축했는데 작년보다 돈이 늘어나지 않았어.
😮 그래? 요즘 금리가 낮은가 보다!


*이 단어는 '햇살 님'이 알려주셨어요. [게시물 보기]


소소한 한마디
금리는 경제가 안정적으로 흘러가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나라에는 금리를 담당하는 기관이 있어서, 사회의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는 바꾸기도 해요. 사회에서 사람들이 돈을 많이 쓰는지, 적게 쓰는지에 따라 금리를 높이거나 낮춘답니다. 금리에 대해 알면, 현재 사회의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